구렁이가 된 홍도스님
페이지 정보

본문
* 구렁이가 된 홍도스님
홍도 비구는 강원도 회양군 금강산 돈도암이란 암자에서 수십 년을 독경과 염불과 참선을 하여 곧 부처님이 될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그가 어느 때에 병이 들어 오랫동안 병석에 누웠다가 속이 답답하여 밖에 나와 소나무 아래에 요를 깔고 누워 있었다. 마침 세찬 바람이 일어나는 바람에
먼지를 뒤집어쓰게 되었고, 벗어 놓은 의복은 바람에 날려 달아났다.
그래서 그는 신경질이 일어나 펄펄 뛰며, "삼세제불도 소용이 없고 팔부신장도 믿을 것이 못 되는구나. 나와 같이 근고수행하는 사람을 병들게 하는것도
틀린 일이지만, 바람까지 불어서 나를 괴롭게 하니 이래서 무슨 불교에 영험이 있다고 할 것이냐?"며 삼보와 팔부신장을 비방하였다.
그랬는데 그날 밤에 토지신이 나타나서 현몽하되, "네가 중노릇하며 공부를 하였어도 헛수고를 하였다. 불자는 자비로 집을 삼고 부드럽게 참는 것으로 옷을 삼으라 하였는데, 그까짓 병을 좀 앓고 바람이 좀 불었다고 하여 진심을 일으키니 그래서야 무슨 공부를 하였다고 할 것이냐? 부처님도 정업은 면하지 못하고 과보를 받으셨거든 네까짓 초심 비구일까 보냐! 네가 병이 난 것도 과거의 업보요, 바람이 분 것도 도량신이 네 마음을 시험해 보려고 한 것이거늘,
그런 것도 견디지 못하고 화를 내고 신경질을 일으켜서 팔부신장과 도량신을 불안케 하니 그게 무슨 체통이냐!" 하고 꾸짖더니 구렁이 껍데기를 씌웠다.
꿈을 깨고 보니 정신은 똑똑한데 몸은 이미 구렁이가 되어 있었다. 홍도 비구는 할 수 없이 돌담 속으로 들어갈 수 밖에 없었다.
그 뒤에 수행승 한 분이 돈도암에 갔더니 서까래 같은 구렁이 한 마리가 마당에서 기어 다니고 있었다. 그 스님은 깜짝 놀라며 불쌍하게 여기고, "네가 이 절에서 공부는 하지않고, 시주 은혜는 많이 입었으나 상주물과 사중재물을 비법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런 사보를 받았구나." 하고 나무대방광불화엄경 제목을 세 번 들려주고는, "만약 어떤 사람이 삼세 일체 부처님을 알고자 할진댄 마땅히 법계의 성품이 오직 마음으로 지은 것임을 알아라."라고 하는
화엄경의 요체 "약인욕요지 삼세일체불 응관법계성 일체유심조"를 일러 주었다.
그랬더니 그 구렁이는 부엌으로 들어가더니 꽁지를 아궁이에 넣어 재를 묻혀 부엌 바닥에 아래와 같은 글을 써 놓았다.
다행히 불법 만나 사람이 되어
다겁을 수행하여 성불에 가깝더니
병중에 있는 이를 솔바람이 불어와서
진심을 한번 내고 뱀이 되었소.
천당과 불찰과 지옥이 따로 있겠소.
오직 마음으로 지어서 이뤄진 것을.
나도 일찍이 비구 스님이었으나
뱀의 몸을 받고 보니 한이 많습니다.
이 몸이 부서져서 가루가 되더라도
다시는 진심을 안 내려 하오.
스님이 만약 다른 곳에 가거든
나의 말을 전하여 경계해 주소.
정신은 멀쩡하나 말을 할 수 없어서
꼬리로 글을 써서 진정을 알리노니
스님은 이 글을 벽에 써 붙이고
진심이 많은 사람 쳐다보게 하시오.
마음에 성 안 내면 참다운 보시요
입 가운데 성 안 내면 미묘한 향이요
얼굴에 성 안 내면 참다운 공양이요
기쁨도 성냄도 없으면 진상도리인가 하오.
이 글을 본 객승이 깜짝 놀라 구렁이에게 절을 하고는, "스님이 금강산에서 이름이 높은 홍도 스님이시구려. 스님은 금강산에서 공부를 하다가 업보를
받았지만, 업보가 아니라 보살의 만행이십니다. 업보라면 어찌 글을 쓰고 남을 경계하리까! 참으로 좋은 법문을 들었습니다." 라고 하였더니 구렁이는
금시에 온 데 간 데가 없어졌다고 한다.
이 설화에서 유래하여 "한번 성내는 마음을 일으키면 뱀의 몸을 받는다."는 말이 생겨나게 되었다. 성을 내고 뱀의 몸을 받는 것은 알 수 없으나
성을 낸 사람을 곧바로 뱀처럼 징그럽고 무섭게 보여 피하고 싶은 것이 사실이다. 반드시 경계하고 경계해야 할 일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